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마라톤, 러닝 햄스트링 부상 원인,증상

운동

by 금덩이 이야기보따리 2025. 3. 11. 22:39

본문

728x90
반응형
SMALL

햄스트링 부상은 달리기를 하는 동안 근육의 과도한 사용, 갑작스러운 스피드 변화, 유연성 부족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햄스트링 부위는 허벅지 뒤쪽에 위치한 세 개의 근육(대퇴이두근, 반건양근, 반막양근)으로 구성되며, 이 근육들이 손상되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.

먼저 햄스트링 부상의 원인과 부위가 어디인지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이미지를 생성해보겠습니다.

마라톤, 러닝 햄스트링 부상 원인,증상
 

위 이미지는 햄스트링 근육의 위치와 일반적으로 부상이 발생하는 부위를 강조한 해부학적 일러스트입니다.

1. 햄스트링 부상의 원인

햄스트링 부상은 주로 다음과 같은 이유로 발생합니다.

(1) 급격한 스피드 변화

  • 단거리 달리기(스프린트) 도중 갑자기 속도를 높이거나 멈출 때 근육이 강하게 수축되면서 햄스트링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.
  • 축구, 농구 등에서 방향 전환이 많은 스포츠에서도 흔히 발생합니다.

(2) 유연성 부족

  • 햄스트링이 짧고 뻣뻣하면 급작스러운 움직임에 견디지 못하고 찢어질 위험이 큽니다.
  • 스트레칭을 충분히 하지 않은 상태에서 훈련을 하면 부상 위험이 증가합니다.

(3) 근력 불균형

  • 대퇴사두근(허벅지 앞쪽 근육)에 비해 햄스트링이 약하면 부상의 위험이 커집니다.
  • 햄스트링이 대퇴사두근과 협력하여 움직이는데, 힘의 균형이 맞지 않으면 햄스트링이 과부하를 받습니다.

(4) 피로 누적

  • 마라톤이나 장거리 훈련 중 햄스트링이 반복적으로 사용되면서 피로가 쌓이면 부상의 위험이 커집니다.
  • 근육이 피로하면 반응 속도가 느려지고 근육의 조절력이 저하되어 쉽게 다칠 수 있습니다.
  • 마라톤, 러닝 햄스트링 부상 원인,증상

2. 햄스트링 부위 및 손상 정도

햄스트링은 다음 세 가지 근육으로 구성됩니다.

  • 대퇴이두근(Biceps Femoris): 허벅지 바깥쪽에 위치하며, 손상이 가장 흔함.
  • 반건양근(Semitendinosus): 허벅지 안쪽에 위치.
  • 반막양근(Semimembranosus): 반건양근 아래에 위치하며 깊숙이 자리함.

햄스트링 부상은 일반적으로 세 가지 정도로 나눌 수 있습니다.

마라톤, 러닝 햄스트링 부상 원인,증상

(1) 경미한 햄스트링 스트레인 (1도 손상)

  • 근육 섬유가 부분적으로 손상된 상태.
  • 허벅지 뒤쪽에 약한 통증이 있으며 움직임에 약간의 불편함을 느낌.
  • 스트레칭이나 가벼운 활동은 가능하지만 전력 질주는 어렵고, 당기는 느낌이 있음.

(2) 중등도 햄스트링 파열 (2도 손상)

  • 근육이 부분적으로 찢어져 부종과 멍이 동반될 수 있음.
  • 걷거나 달릴 때 뚜렷한 통증이 발생하며, 근력이 감소.
  • 근육이 뭉치는 느낌이 강하게 들고 스트레칭 시 심한 통증을 느낌.

(3) 심한 햄스트링 파열 (3도 손상)

  • 근육이 완전히 찢어지거나 건(힘줄)에서 분리된 상태.
  • 극심한 통증과 부종이 발생하며, 근육이 움푹 패이는 느낌이 있음.
  • 걷기가 어려우며,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음.

햄스트링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워밍업과 스트레칭, 근력 강화 운동이 필수적입니다.
특히 햄스트링 스트레칭, 엉덩이 브리지, 레그 컬과 같은 운동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
 

728x90
반응형
LIST

관련글 더보기

댓글 영역